출처 링크 https://goo.gl/LyjhMI
뇌는 훈련하면 변화한다 – Sciencetimes
www.sciencetimes.co.kr
세 줄 요약 :
다른 신체기관과 달리 뇌는 훈련하면 변화한다.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가 커지고 시냅스 연결 또한 강화된다.
몸을 단련하는 운동부터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것, 새로운 사람과 만나고 여행하고 새로운 자극을 받아들이는 모든 활동이 뇌를 훈련시킬 수 있다.
늘 같은 눈으로 세상을 보는 건 아닌지, 정체된 환경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눈에 반짝거림이 없어지는 순간 뇌기능은 쇠퇴한다.
조금 더 긴 요약 :
지난 100년간 뇌과학의 가장 대표적인 연구 성과 중 하나로 손꼽히는 것이 바로 '뇌는 훈련하면 변화한다' - 즉, '뇌가소성'이다.
뇌세포는 한 번 가지고 태어나면 영구적으로 손상, 소멸된다는 기존 가설을 뒤엎는 연구결과다. 물론 모든 신경세포가 증가한다는 것은 아니다. 뇌 속에서도 특정 부위의 신경세포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바로 뇌에서 기억조절을 담당하는 부위인 '해마'다.
복잡한 영국의 런던 택시기사의 뇌 조사 결과 베테랑 운전사 일수록 해마가 크다/ 사물을 학습시키면 쥐의 해마 신경세포가 증식된다 / 먹이와 물만 있는 단조로운 환경과 다양한 놀이 환경을 갖춘 곳에서 생활한 생쥐의 실험에서 다양한 환경의 생쥐의 해마가 크게 나왔으며 단조로운 환경에 있는 쥐를 자극적인 환경으로 옮기면 단기간에 해마의 신경세포가 늘어난다/ 해마의 신경세포 나이가 전부 제각각 이라는 스웨덴 연구 보고서 등 여러 연구 결과가 이를 입증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뇌가소성'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심장이나 위와 달리, 뇌는 인체에서 유일하게 정신활동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중 인간의 뇌만큼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존재는 없으며, 태어난 이후 이토록 많은 뇌의 변화를 겪는 존재 역시 없다. 집중과 몰입, 과거와 미래를 넘나드는 상상, '나는 누구인가'로 대표되는 내면탐색 또한 인간의 고등정신능력이다.
두뇌계발은 뇌와 몸이 하나, 즉 모두 연결되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뇌에 대해 갖는 가장 큰 오해는 뇌를 단지 신체기관의 하나로만 여긴다는 점이다. 몸과 뇌 사이의 정보통로를 원활하게 하는 것, 즉 신체운동을 하는 것은 몸을 좋게 할 뿐아니라 두뇌기능까지 발달시킨다. 뇌가 하는 일은 바깥에서 오는 정보를 알아차리는 것인데, 몸에 변화를 주면 뇌가 깨어나게 된다.
뇌가 싫어하는 것은 자극이 없는 것이다. 신경망에 변화를 가져다주지 않기 때문이다. 몸을 단련하는 운동에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 학습하는 과정, 사람과의 유기적인 관계형성에까지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신경망에 변화를 만들어 낸다.
많은 경험이 중요한 것도 지식정보 보다 체험정보가 새로운 시냅스 형성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언제나 같은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진 않는지, 나의 가슴을 설레게 만드는 것이 어느 순간 사라지지는 않았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뇌가소성'의 위대한 발견이 던지는 메세지 이기 때문이다.
'눈에 반짝거림이 없어지는 순간 뇌기능은 쇠퇴한다.'
[뱃살날다 코멘트]
'눈에 반짝거림이 없어지는 순간 뇌기능은 쇠퇴한다.'
단지 기억력을 강화시키고 뇌를 활성화시키는 목적이 아니라도, 꾸준히 운동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대의 여러 모습을 받아들이려고 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정체된 생각과 생활에만 머물러 있게되면, 무기력해지고 기분도 우울해지고 결국 건강까지 해치기 마련이니까요.
다행스러운 건, 그걸 깨닫기만 하면 늦지 않았다는 점이예요. 단조로운 생각과 생활에 무기력해 있던 사람이라도 노력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고, 뇌도 거기에 반응한다는 거니까요.
난 이미 늦었어, 요새 얼마나 깜박깜박 하는지... 라는 생각이 들더라도 아직 늦지 않았으니 뭐라도 새롭게 시작해보아요!
'뉴스요약&관심사 링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서글픈 낀세대, 80년초반생 얼리MZ (0) | 2021.07.13 |
---|---|
뉴스요약_ 은퇴는 없다! 진화하는 '노인 일자리' (0) | 2021.01.25 |
뉴스요약- 어쩌면 코로나보다 더 무서울지 모릅니다. '기후변화 팬데믹' (2) | 2020.12.31 |
뉴스요약_ 카톡 멀티프로필 부캐기능(?) 및 구독 서비스 업데이트 예정 (4) | 2020.11.21 |
뉴스요약: 자발적 비혼모 사유리_ 본질은 자발성이다. (4) | 2020.11.19 |